반응형
안녕하세요! 오늘은 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등기부등본 보는 법을 쉽게 설명드리려 합니다.
등기부등본은 부동산 거래에서 집의 권리 관계를 확인하는 필수 서류입니다. 부동산을 전혀 모르는 부린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부분을 설명하고, 실제 확인할 때 주의할 점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.
잘 살펴보시고 체트하면 도움이 되실거에요.
✅ 등기부등본이란?
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소유권과 권리 관계를 기록한 공적 문서로,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.
- 표제부: 부동산의 기본 정보(주소, 면적, 구조, 용도 등)
- 갑구: 소유권에 관한 사항(현재 소유자, 소유권 변경 이력)
- 을구: 소유권 이외의 권리 사항(근저당권, 전세권, 가압류 등)
등기부등본은 인터넷등기소 또는 모바일 앱에서 쉽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.
🛡 등기부등본 확인 체크리스트
표제부 | □ 주소와 매물 정보가 맞는지 확인 □ 면적, 용도, 구조 정보 점검 |
갑구 | □ 현재 소유자 이름 확인 □ 소유권 변경 이력(매매, 상속 등) 체크 |
을구 | □ 근저당권, 전세권, 가압류 등 권리 관계 확인 □ 선순위 권리가 있으면 보증금 안전성 점검 필요 |
주의 사항 | □ 선순위 대출 + 내 보증금 > 집값이면 위험 □ 의문이 생기면 반드시 전문가에게 확인 |
🔍 초보자가 주의해야 할 핵심 팁
✅ 등기부등본은 최신 날짜로 발급받으세요. (계약 직전 발급 필수!)
✅ 을구에 적힌 근저당권은 은행 대출 담보로 설정된 것이니 선순위 금액을 반드시 계산하세요.
✅ 소유자가 여러 명일 경우, 공동명의 여부 및 동의 확인도 필요합니다.
✅ 문서에 잘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, 무턱대고 서명하지 말고 중개사나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꼭 확인하세
🔔 마무리
등기부등본은 부동산 거래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 겉만 보고 집을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세요.
위의 체크리스트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계약하면, 보증금 위험을 줄이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을거에요.
반응형
'부동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 계약 가이드-전입신고와 확정일자 (0) | 2025.05.08 |
---|---|
부린이를 위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 (0) | 2025.05.08 |
전세 계약서 서명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체크리스트 (0) | 2025.05.07 |
보증부 월세(반전세)와 전·월세 계약 주의사항 (0) | 2025.05.07 |
2025년부터 바뀌는 '지방 저가주택' 취득세 중과배제 (0) | 2025.05.04 |